평범<平凡>과 비범<非凡>
제윤경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얼마 전 친척 결혼식에 다녀왔다. 신랑·신부 모두 평범한 집안에 , 평범한 학력, 평범한 외모, 평범한 소득 수준을 가졌다. 결혼을 앞둔 다른 조카에게 신랑감이 어떤 사람이냐고 묻자 “그냥 평범한 남자예요”라고 한다. 그러면서 한마디 덧붙였다. “근데 요새 평범한 사람 만나는게 제일 어러운거 아시죠?”
제50회 한국일보 문학상을 받은 정세랑의 장편소설 《피프티 피플》에는 이런 구절이 나온다. “주변을 둘러보면 요즘은 웬만큼 낙천적인 성격이 아니고서야 결혼이든 다른 무엇이든 엄두를 못 내지 싶었다.” 요즘 젊은이 들의 결혼에 대한, 아니 인생에 대한 생각을 보여주는 것 같아 씁쓸해지는 건 어쩔 수 없다.
국어사전 정의에 따르면 평범(非凡)은 ‘뛰어나거나 색다른 점이 없이 보통이다’라는 뜻이다. 보통은 뛰어나지도 열등하지도 않은 중간 정도를 의미한다. 우리 민족에게 ‘평범’한 건 미덕이 아니었다. 어려웠던 시절 우리 부모들은 열심히 교육시켜 자식이 ‘입신양명’하길 바랐고, 우리 때의 부모들은 자기 자식이 남들보다 조금 뛰어난 면모가 보이면 ‘비범’한 아이라며 영재 취급했다. ‘세상에 태어나서 평범하게 살다 만 갈 수 있겠나?’ 여느 부모라면 한 번쯤 자신의 아이에게 바랐을 생각이다.
그러나 세상이 바뀌었다. 일자리가 없고 임금은 줄어들고 계층 간 사다리는 더욱 높아졌다. 부모세대보다 가난한 첫 세대가 밀레니엄 세대, 즉 요즘 젊은이들이 될 것이다. 모험도 도전도 언감생심. 중간만 가기 위해 이 사회의 규칙과 상식에 지나치게 순종하는 세대. 평범함이 꿈인 세대가 이들이다.
주빌리은행에서 일하면서 “내 꿈은 다름 아닌 아이들에게 마음 편히 피자 한 판 사주고 영화 보러 가는 평범한 삶”이라고 말하던 한 다중채무자의 말이 떠오른다. 평범함이 꿈인 것은 비단 젊은 세대에만 국한되진 않는다.
치세자 치상자야 도야자 도상자야(治世者 治常者也 道也者 道常者也: 정치란 평범한 사람의 평범한 생활을 바르게 다스리는 것이요, 도라는 것은 평범한 사람의 평범한 행동을 바르게 인도하는 것이다)라는 한비자의 말을 돌이켜본다. 평범함이 꿈이 되지 않는 사회, 진짜 자신이 원하는 꿈을 쫓을 수 있도록 국가가 기본적인 평범함을 보장해는 사회. 내가 하는 정치가 세상을 변혁하겠다는 커다란 그림보다는 사람들의 평범한 삶을 보장해주기 위함이라는 기본을 잊어선 안된다고 말이다.